정리
•
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하는 전시에서는 니즈가 있음
•
작가 단을 컨택하는 것이 일이 간편할 것
•
커스터마이징을 어느 수준까지 할 수 있을지 고민 필요
◦
상세할수록 좋지만, 난이도가 있음
인터뷰이 1: 조소과 졸업생
•
특이사항
◦
전 미술대학 학생회장, 전 SNUSV 회장
◦
원하면 다양한 미술업계 종사자 소개해줄 수 있음
•
질문1: 미술 작품에 오디오를 사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가?
◦
설치 작업을 위주로 하는 작가들은 본인 작업에 맞는 음악을 고르는 케이스가 있음
◦
디자인/일러스트를 위주로 하는 작가들은 본인 인스타, behance를 통해서 작품을 아카이빙하고는 함. 아카이빙 시에 음악을 같이 활용할 니즈가 있음. 이러한 시각 디자인하는 작가들에게서 니즈가 있을 것으로 보임
•
질문2: 음악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의견이 어떠한가?
◦
작가들은 각자 본인 스타일이 있어서, 개인 성향을 많이 탐. 커스터마이징 필요함
◦
순수 예술하는 쪽은 너무 천차만별이라서 이렇다 하기가 어려움
◦
미술 작업하는 사람들 중에서 음악 같이 하는 사람들 꽤 많음. 노출 되었을지 어떻게 활용할
•
질문3: 도슨트 음악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어떻게 되는가?
◦
학예사(큐레이터)안에 있는 기획팀에서 만듦
◦
국립현대미술관(줄여서 국현미라고 부름)도 내부에 전시 기획하는 기획 팀이 있음. 어떤 작가 작품을 수급해올지를 계획하고, 동선을 배치하고 스토리라인을 만듦. 참여자들이 어떤 경험을 할지 상상하는 것으로 도슨트를 이 단계에서 준비
•
질문4: 미술관의 기획 팀이 하는 어떻게 되는가?
◦
위의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하는 일이 주요한 업무
◦
리움 미술관 등에서는 사설 기획 팀들을 고용하기도 함. 글, 작품에 대한 설명 등 부가적으로 필요한 요소를 정함
◦
참고로 국립과 사립 미술관의 성격이 서로 다름. 국립은 국가 내의 다양한 작가들에게 기회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시마다 다른 방향성을 갖고 전시를 기획함. 국립 미술관은 국가 내 작가 양성, 해외 신진 작가 소개 등의 사설에 비해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함
◦
사설 미술관은 컬렉션이 있어서, 컬렉팅을 하려는 방향에 맞추어서 하기도 함.
◦
사설 미술관보다 규모가 작은 미술 집단인 갤러리는 아예 작가 하나를 정해서 육성하기도 함
•
다양한 위계에서 접근 가능함
◦
가장 마이크로하게는 작가 단에서 접근 가능
▪
의사 결정단위가 개인이라서 훨씬 가벼움
▪
아까 언급한 디자이너에게 컨택하는 방향이 가장 직관적으로 보임
▪
비핸스에 올리는 작가들에게는 명확한 소구점이 보임
◦
미술관의 기획단에서 접근 가능
▪
여기는 하나의 회사에 가까워서 좀 무거움
◦
레지던시라는 단위도 있음
▪
4~5명 정도의 작가를 양성해주면서, 지원 기간 동안 재료비랑 전시 공간 제공
▪
레지던시에는 매니저가 있어서 매니저에게 접근할 수도 있음
▪
혹은 레지던시에 있는 개인 작가에게 이야기 할 수도 있음
▪
레지던시도 국립/사립으로 나뉘며 국현미도 레지던시 있음. 재단 단위 레지던시도 있음
▪
인천아트플랫폼의 레지던시도 있음
◦
대학원에서 접근할 수도 있음
▪
대학원 청구전에 활용 가능. 학교 내 리소스 활용하면서 전시할 수 있는 기회들이 있음
▪
애초에 미대 대학원에 가는 것은 작가가 되겠다는 의미이므로 대학원을 컨택해도 됨
◦
실험적 전시공간(탈영역 우정국)에서 접근할 수도 있음
▪
실험적 전시를 위주로 하는 만큼 니즈가 있을 듯
◦
달리/미드져니 만드는 사람한테 어울리는 BGM 팔수도 있을것으로 보임
인터뷰이 2: 동양화과 전공 대학원생
•
생각보다 바로 전시를 열 가능성도 있음
◦
서울대 파워플랜트 전시관이 기술이랑 예술이 융합된 전시를 받음
◦
팀이 있다면, 공대생 애들 만으로 신청해도 됨
◦
어떻게든 포트폴리오로 만들수 있을듯
◦
갤러리도 실험적인 전시를 하는 곳이면 분명 니즈가 있을 것
•
작가 측면에서 생각해보기
◦
기존에 빌드업해서 쌓은 사고 체계와 취향이 있을 것임
◦
그런 분들은 직접 전자 피아노 같은거 사서 진행하기도 함
◦
자기 취향에 맞게 베이스 음악을 만들고 싶은 상황
◦
아이디어: 간단한 베이스 음악을 주고, 거기에 살을 붙을 수 있게 하자
•
레지던시 스튜디오에 우리가 그림을 가져가는 경우를 생각해보기
◦
난지 창작 스튜디오라는 곳이 있음
◦
작가, 비평가, 큐레이터 집단으로 되어 있음 (비평가들이 크리틱이라는 것을 함. 작가의 그림을 비평)
◦
우리가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가져가면, 이런게 있다고 알려주면 거기서 인지를 하고 전시를 할 수도 있음
•
현실적인 레지던시 접근 방법
◦
입주하고 있는 작가한테 다이렉트로 문의할 수도 있음
◦
1년마다 전시를 무조건 함. 전시라는 결과물로 가져가면 좋을 것 같음. 미술 부서 소속이 되어서, 기자들한테 메일로 100~200명 정도 보내면 그 중에서 10개 정도 기사를 써짐. 바이럴을 태워서 데이터가 남게 해야겠다
▪
경력이 5년차 즈음 되는 사람들은 기자가 다 있음
◦
우리가 직접 하려면 네이버 전시, 아트씨, 아트맵에 올려야 함. 거기까지 신경쓰면 골치 아픔
•
추천안: 인터렉티브한 UI
◦
처음에는 베이스 멜로디 제공
◦
거기에 살을 붙이며 작곡
•
KIAF, 한국화랑미술협회가 라이트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
◦
각지에서 와서 진행함
◦
메일 보내서 참여 신청할 수도 있음. 부스 비용 물어보면 그건 그때 가서 생각…
◦
접근성이 좋아서 구매도 많지만, 작가들도 많이 옴. 새롭게 계약하고 싶은 갤러리를 여기서 찾기도 함
인터뷰이 3: 또 다른 동양화과 전공 대학원생
•
미술을 대하는 입장에 대한 차이가 있을듯
◦
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작품이라면 문제 없음. 근데 작품을 통해 본인의 작품 세계를 연구하는 연구자 입장이라면?
◦
작가는 그림을 통해서 독자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음. 그 이야기에 맞는 사운드라면 말이 됨. 그게 아니라면 오히려 싫어할 수도 있음
◦
따라서 커스터마이징이 필수이며, 본인의 의도에 따라 음악을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함
◦
낭만주의 그림을 그렸는데 재즈가 나오면 작가는 굉장히 불쾌할 것
•
퍼포먼스를 할 때 음악이 많이 활용됨. 그러한 사용처를 생각해볼 수 있음